메뉴 건너뛰기

유년부

https://saeronam.or.kr/home/saeyu

카페 정보

회원:
305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91
어제:
171
전체:
297,726

게시글 랭킹

  1. 노영진 11
  2. 정유나 4
  3. 박규태 2
  4. 함대기 2
2024-05-20 ~ 2024-06-18

일반 최고의 반 최고의 교사

2008.06.04 10:41

배철욱 조회 수:143 추천:1

† 최고의 반, 최고의 교사





1. 교사들의고백 (당신은 왜 주일학교 교사가 되었습니까?)

① 주위의 권고나 부탁 때문에
② 따가운 시선이나 보이지 않는 압력 때문에
③ 교사가 부족해서
④ 아이들을 좋아해서
⑤ 계속 교사를 해왔으니까
⑥ 얼떨결에(갑작스런 임명)
⑦ 사명감으로



☞ 바울 사도의 직분에 대한 이해 - 딤전 1:12;고전 15:10



☞ 왜 교사가 되었나요?




2. 교사들의 몸부림
1) 한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은 농사에 관한 일이라면 모르는 것이 없습니다.

     세계적인 농학박사입니다. 어느 해 이 사람이 세계 최고의 비료를 가지고 농사를 지었습니다.

     기후도 좋았습니다. 최고의 환경입니다. 그러나 수확이 없다면?


2) 마찬가지로 아이들을 위해 밤새 연구하고 쉬지 않고 일하고 제일의 말씀으로 먹인다고 해도

     그 아이들이 하나님 앞에 인격적으로 바로 성장하지 않는다면?


3) 질문:내가 가르친 아이들이 하나님 앞에 올바로 인격적으로 바로 성장했는가?
              지금까지 가르친 아이들  중에 자신 있게 하나님 앞에 내세울 아이가 있는가?


   ∴ 최고의 교사,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누구에게 기준이 있는가? 이다.

         → 최고의 교사가 되기 위한 기준은 아이들이다.


3. 그럼 최고의 교사가 되려면?
1) 예화:어느 목사님이 이스라엘 카부키에서 한 달간 농사를 지으며 훈련을 받는 중에 일어난

     일입니다. 목사님의 농장에서 양계장 일을 보는 중 병아리가 부화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작은 생명체가 딱딱한 껍질을 뚫고 나오는 것이 너무 힘겨워 보여 도움이 되고 싶었습니다.

     껍질을 조금만 깨주면 쉽게 나올 수 있을 것 같아 그렇게 했다. 그러나, 결과는 병아리는 죽고

     목사님의 농장 지도자에게 엄청나게 혼났다는 것이다. 지도자의 말은 스스로의 힘으로 껍질을

     뚫고 나오지 않은 병아리는 자생력을 갖지 못해 곧 죽게 된다는 것이었다. 목사님은 그 사실을

     알지 못해 작은 생명 하나를 죽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내가 지금 가르치는 아이들의 상황이나 환경을 모른 체,

     그 아이들에 대한 이해 없이는 아이들의 성장이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① 아이들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교사! 전문가!
     ▶ 교사 역시 영혼을 책임지는 목회자이다.
     ▶ 농부가 수확을 많이 얻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더불어 밭의 특성을 알아야 하듯, 교사는

         아이들의 개인 생활과 가정생활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그 아이에 관한 것들을 기도제목으로

         삼아야 한다. 이 기준 위에 다른 것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관계를 형성하라. 당신은 나의 친구!!
      (학생과 시간을 따로 갖고 대화를 많이 하며 관계를 형성하라 공과는 그 다음이다.)
   ▶ 아이들 생일? 생일날 집에서 또는 부모님이 모른체 그냥 지나가면?
      → 선물은 비공개적으로 줘라. 그러나, 축하는 공개적으로 하라.
   ▶ 주중에 한 번이상 연락이나 만남을!
   ▶ 달려와 안길 수 있는 교사?!
      → 처음에는 쑥스러워해도 좋아한다. 아이들을 안는 교사가 되라.
   ▶ 주머니에 늘 사탕, 그리고 먹일 때는?
      → 주머니에 아이들이 원하는 작은 것들을 가지고 다니다가 아이들의 입에 직접 까서 먹여주라.

          아이들은 본대로 행한다. 자신들도 선생님에게 직접 먹여주게 된다.할 수만 있으며 칭찬하고

          할 수만 있으면 사랑하고 품어주라.


  ③ 아이들의 영적 관심을 파악!
   ▶ 그들의 관심, 의구점등을 설문으로 조사해 보라. 예를 들면 하나님에 대하여 궁금한 점,

       사람에 대하여 궁금한 점등... 그들의 궁금증과 우리의 궁금증이 별로 차이가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④ 아이들의 세계를 이해하라.
   ▶ 아이들의 언어로(기도 / 공과) : 대표기도는 짧게 요약해서
   ▶ TV 프로?


  ⑤ 자기 반을 최고의 반으로!
   ▶ 자기 반 아이들에게 최고의 의식을!
      → 가장 행복한 가정은? 행복한 부부는? 그럼, 행복한 반은?
   ▶ 먼저 교사가 자기 반 아이들을 최고로, 최고의 아이로!
      → 선생님이 최고로 인정해주면..
   ▶ 칭찬 받으면 기분 나쁘거나 화나는 분?(없다)
      → 고구마 자라는 것을 시험해 보라. 두 개의 고구마를 키우면서 하나는 볼 때마다 칭찬하고

          사랑해 주고, 하나는 저주해 보라. 틀림없이 저주받은 고구마는 자라지 못한다. 심지어 싹도

          피우지 못한다. 한 이주 후 저주받은 고구마를 다시 사랑으로 품어 줘 보라. 다시 싹이 트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구마도 그러건만 하물며 아이들은?


  ⑥ 그리고 나서 목표를!
   예) 시간을 최고로 잘 지키자.
       ▶ 만일 늦는 아이가 있으면? 늦었다고 혼내거나 짜증 섞인 말보다는 이해와 사랑하는 언어로

           아이를 맞으라.
       ▶ 교회에 빠졌으면? 마친가지이다.
           ◈ 사랑의 표현을 하라.


  ⑦ 전도를!
   ▶ 죄인 하나 회개시 즉, 200명, 2000명 앉아 예배드리는 것보다 한 명이 새로 교회에 나오는 것을

       하나님이 더 기뻐하심을 가르치라.
   예) 탕자의 비유에서 큰아들이 있어도 나간 자식을 기다리는 것이 하나님의 심정.
   ∴ 일단은 찾아 놓고 볼 것이다.



  ※ 왜 전도하지 않는가?
   ▶ 데려와도 다음에 그 아이가? "야, 지겨워 죽는 줄 알았네. 이렇게 재미없는데 나 왜 데려왔어."

       라는 소리를 한다면?
   ▶ 만일 새로나온 아이가 "왜 이제야 날 데리고 왔니? 진작에 데리고 오지!!" 라고 한다면?
   ▶ 새로운 아이가 왔을 때 옆 친구의 반응은?
      → 대부분 새로 온 아이가 전도를 잘한다. 오래 다닌 아이들은 전도를 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전도한 아이만 칭찬한다면 전도를 잘한 아이는 질시의 대상이 되고, 서로 사이가

          안좋게 된다. 그러므로 아이들에게 전도를 가르칠 때 새로 온 친구를 열렬히 환영해 주고

          그 아이가 교회에 잘 다니게 하는 것도 전도임을 알게 하라.
   ▶ 교회, 구역, 반의 관점이 새신자 중심이!! 기존 아이들을 그렇게 훈련.
   ▶ 우리는 새로운 아이가 나올 때 정말 기뻐하거나 얼마나 감사했는가? 그리고 전도해 온 친구를

       어떻게 대했는가?



  ※ 전도시 주의점.
   ▶ 기존의 아이가 잘하는가 새로 온 아이가 잘하는가 경쟁 붙이지 말라.





4. 본문에서 주는 교훈


  ① 마 28:19-20 - 가르쳐 지키게 하라!
     ∴ 아무리 좋은 공과라 해도 가르치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② 주보가 떨어져 있을 때
   ▶ 아이들에게 손 하나 까닥 안하고 머리로만 지시로만 한다면? 아이들은 보고 배운다.
   ▶ 다리가 하나 없어도 빗자루를 들도록!
   ▶ 기도시키려면?
   ▶ 새로 전도해 올 때?
   ▶ 영혼의 운전자. - 택시가 사고나면 다섯 사람이 죽는다. 버스는? 수십 명이 죽는다.

       교사는 영혼의 운전자이다. 교사의 운전이 잘못되면 어떻게 될 것인가를 명심하라.
         ※ 아이들을 찾는 교사는 교회(교사)를 찾는 어린이를 만든다.



5.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
1) 아이들을 위해 눈물 흘리는 교사가 되라
2) 노력하는 교사가 되라.
3) 하나님의 소명을 포기하지 말라.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048 세계지도 file 옹달샘 2004.07.03 161
1047 유년부비전선언문 file 홈지기 2004.06.04 161
1046 말씀충만 코너 학습 계획서 file 이화선 2006.07.25 159
1045 코너학습(전수희샘) file 배철욱 2013.07.17 157
1044 성경이야기 2과 대본 file 전영호 2011.07.02 157
1043 추수감사주일 예배 기획서 file 배철욱 2008.11.13 157
1042 2009년 새친구반 교재 file 배철욱 2009.04.16 156
1041 조별 깃발 file 도승환 2006.07.17 154
1040 2005년 10월 26일 교사마당 file 새꿈이 2005.10.28 153
1039 온도계 file 옹달샘 2005.07.18 153
1038 정은영 선생님 5과 입니다. file 배철욱 2008.01.19 151
1037 봄 성경캠프 홍수(1부2학년B팀) [1] file 임대열 2015.03.21 150
1036 2006년 6월 7일 수요일 file 정민환 2006.06.09 150
1035 2015 성경탐험 진행자 명단 [1] file 임대열 2015.03.15 149
1034 지구를 품는 아이들2 file 옹달샘 2004.07.15 149
1033 사랑축제 파이널데이 레크레이션 file 배철욱 2012.06.21 145
1032 가정예배 서약서 file 옹달샘 2010.12.06 145
» 최고의 반 최고의 교사 배철욱 2008.06.04 143
1030 유년부 제자반 캠프 양화진,순교자기념관 정보 file 배철욱 2008.08.10 142
1029 전화심방에 대하여2 file 박명자 2012.01.07 140